2024년 출산혜택 및 출산 지원금 임산부 혜택 무엇이 달라졌나요?

2024년 새해를 맞아 올해 임신 계획이 있거나 출산 예정을 앞둔 예비 부모님들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출산혜택 무엇이 달라졌는지, 임산부와 산모에겐 어떤 혜택들이 주어지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도시와 지자체 별로 차이가 있으니 링크들을 통해 자신의 지역에 맞는 지원금을 확인해보실 수 있게 준비해보겠습니다:)

2024년 출산혜택 (출산 지원금)

2024년 출산혜택 안내

“임신을 했다고 나라에서 돈을 준다고?” 어르신들이라면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네 맞습니다” 임신을 하면 나라에서 지원금을 줍니다. 2023년 출산률이 0.7이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실제로 제 모교인 초등학교는 아이들이 없어 최근에 폐교했다는 소식을 접해들었는데요. 그만큼 출산률이 저조하기 때문에 정부에서 앞다투어 혜택 등을 주어 출산을 장려하고 있답니다.





 

✅ 출산 지원금 조회

출산 지원금은 지자체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별 내용과 지원금이 상이해요. 첫째, 둘째인지에 따라 차이를 두고 있고 같은 도시일 지라도 시 군구 별로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신청하기 전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조회는 인터넷으로도 가능하며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가 가능합니다.

아이사랑 홈페이지 바로가기 링크 안내
아이사랑 홈페이지 바로가기 링크 안내

 

✅ 조회 방법

아이사랑 홈페이지 입장 > 출산 항목 클릭 > 출산 지원금 클릭 > 본인 거주 지역 입력 및 검색





 

이렇게 조회를 마쳤다면 신청은 주민센터 혹은 구청에 방문하여 서면 접수해주셔야 하는데요. 해당 구에 거주하는 임산부라면 누구라도 신청이 가능하며 출산 전 진료비부터, 출산 축하금 등 다양하게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임신 바우처 지원

임신 바우처 다소 낯선 말인데요. 바우처라는 것은 특정한 금전적 가치가 있고, 특별한 이유나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소비할 수 있는 채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역 화폐 한번 쯤은 사용해보셨겠죠? 임산부만 쓸 수 있는 지역 화폐의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임신바우처 출산혜택

임신을 확인하게 되면 국민 행복카드로 임신 바우처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임신 1회당 단태아 기준 100만원의 금액을, 다태아 기준 140만원의 금액을 임신 바우처로 국민 행복카드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답니다. 금액이 꽤 많은 것 같아도 면역력이 떨어지는 임산부의 경우 병원 진료비로 많이 쓰시게 되기 때문에 보통 임신기간 내에 진료비로 소진하시는 것 같아요.

✅ 임신 바우처는 분만 예정일로 부터 2년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첫만남 이용권

2022년 이후로 새로 개설된 첫만남 이용권은 새로 태어난 아기의 가정에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제도인데요. 다소 파격적인 금액으로 많은 신혼부부들에게 가뭄에 단비 같다며 많은 찬사를 받은 혜택 중 하나입니다.

그렇지만 2024년 출산 지원금(첫 만남 이용권)에 변화가 생겼답니다! 더 좋아졌는데요.

첫만남 이용권 안내
첫만남 이용권 안내

정부에서 안내하고 있는 2024년 기준 첫 만남 이용권 혜택의 경우,

  • 단태아 – 2,000,000원
  • 쌍태아 – 4,000,000원
  • 삼태아 – 6,000,000원
  • 둘째 아이 – 3,000,000원

이런식으로 지급하고 있답니다. 첫 만남 이용권의 경우도 또한 국민 행복카드 바우처로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 출산 지원금의 경우 병원이나 약국에 한정되어 사용이 가능했다면 첫 만남 이용권의 경우 유모차나 아기 카시트, 육아 용품 구매나 산후조리원 비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니 정말 쓰임새가 많다고 할 수 있겠네요.

✅ 첫 만남 이용권은 출산 후 1년 이내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산후조리 경비 지원 혜택

첫 만남 이용권의 바우처로 산후 조리원 비용에 쓸 수도 있지만, 산후조리비로 또 다른 지원이 나오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을까요? 신생아나 산모의 건강관리 서비스, 산후 건강 회복에 필요한 의약품이나 한방약, 영양제 및 건강 식품, 체형 관리 등에 사용이 가능한 “산후조리경비”를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산후조리비 지원 안내

산모 1인 기준으로,

  • 단태아 기준 – 1,000,000원
  • 쌍태아 기준 – 2,000,000원
  • 삼태아 기준 – 3,000,000원

(서울 기준이며, 지역별로 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산후 조리 지원금의 경우 산후 조리원 기본 이용료로는 결제가 불가능하지만 조리원 내의 시설 이용 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체형 교정, 붓기관리, 운동 수강 수업등 업종이 산후조리원과 분리 된 시설에서 사용이 가능해요.





 

전기세 감면 혜택

한푼이라도 아껴 아기에게 뭐라도 해주고 싶은 부부에게는 적은 금액이라도 아낄 수 있다면 좋을텐데요. 크지는 않지만 나라에서 한도 월 16,000원으로 전기료를 감면해주고 있습니다.

출산혜택 전기세 감면

출생일로 부터 3년 미만의 영아가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에는 전기 요금을 30% 감면해주고 있으나 월 한도 16,000원 내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몇푼 안되는 것 같아 보여도 오랜 기간 지원받는 것이고 여름이나 겨울철 조금이라도 냉 난방기를 돌릴 수 있으니 은근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기저귀 바우처 (조제분유지원)

기저귀 바우처는 매월 8만원 씩 3개월 단위로 지급되는 바우처인데요. 전기 요금도 그렇고 왜 개월로 나눠서 주나 싶은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그 이유는 정말 그래서는 안될 일이지만 이런 지원금을 빼먹으려고 출산하여 악용하는 사례들을 막고자 하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충격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게층, 한부모 가족 혹은 기본 중위소득 80%이하 구간의 장애인이나 다자녀 가구에 지원이 가능한 기저귀 바우처 혜택이 있답니다.

조건이 다소 까다로우니 자신이 부합하는지 정확히 확인 후 신청해보시길 바래요.





 

 

신생아 특공 청약혜택

신생아 특공은 입주자 모집 공모일로부터 2년 이내에 임신이나 출산을 증명한다면

공공분양 혹은 민간분양 그리고 공공임대 아파트 청약에서 우선순위를 주고 있는 혜택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청약 시장이 이제 한풀 꺾여 정체기로 들어섰기 때문에 2024년에는 다소 메리트가 없다고 느껴지실 수도 있겠지만 부동산 시장은 돌고 돌기 때문에 과열 지역에서 잘 이용하신다면 그 어떤 혜택보다도 좋다고 생각들기도 하네요.

이상으로 2024년 달라진 출산혜택과 지원금 등을 알아봤는데요. 무엇보다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고 잘 키우는 것이 중요한 만큼 똑똑한 엄마 아빠로써, 혜택 잘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자동차세 연납 할인 9월에도 된다고? 신청방법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지금까지 투표 한 사람이 없어요.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error: 이 포스팅은 지켜지고 있습니다.